DB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요구를 수행하는 DB 관리 시스템은 DB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다. 사용자와 DB 사이에 위치하며, 기능에 따라 크게 질의 처리기와 저장 데이터 관리자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 처리기
질의 처리기(query processor)는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요구를 해석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다음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1. DDL 컴파일러 : 데이터 정의어로 작성된 스키마의 정의를 해석한다. 저장 데이터 관리자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DB를 구축하고, 스키마의 정의를 데이터 사전에 저장한다. 데이터 정의어로 작성된 기존 스키마의 삭제나 수정 요청도 처리하여,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 사전에 적용한다.
2. DML 프리 컴파일러 : 응용 프로그램에 삽입된 데이터 조작어를 추출하여 DML 컴파일러에 전달한다. 단, 데이터 조작어와 관련 없는 나머지 코드들은 해당 언어의 컴파일러에 보내진다.
3. DML 컴파일러 : 데이터 조작어로 작성된 데이터의 처리(삽입, 삭제, 수정, 검색) 요구를 분석하여 런타임 DB 처리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한다.
4. 런타임 DB 처리기 : 저장 데이터 관리자를 통해 DB에 접근하여, DML 컴파일러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처리 요구를 DB에서 실제로 실행한다.
5. 트랜잭션 관리자 : DB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이 유효한지를 검사하고, DB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제약조건 위반 여부를 확인한다. 회복이나 병행 수행과 관련된 작업도 담당한다.
저장 데이터 관리자
저장 데이터 관리자(stored data manager)는 디스크에 저장된 DB와 데이터 사전을 관리하고, 여기에 실제로 접근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은 운영체제의 기본 기능이므로 저장 데이터 관리자는 운영체제의 도움을 받아 DB에 대한 접근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언어 (0) | 2024.05.24 |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0) | 2024.05.24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0) | 2024.05.23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의 (0) | 2024.05.23 |